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3

[소방지식]꿀팁 위험물 정리 1류 산화성 고체 불연성 물보다 무겁고 대부분 물에 녹는다. 무기과산하물은 물과 반응시 산소 발생(물 소화x) 대부분 무기질화합물 충격주의 2류 환원성 고체 이연성 속연성 물보다 무겁고 대부분 물에 안녹는다. 위험등급 1등급이 없다.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물과 반응시 수소발생 황화린 물과 반응시 황하수소 발생 대부분 무기질화합물 유황 적린 인화성 고체 (물 소화 ㅇ) 3류 자연발화및 금수성물질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칼나알알) 물 보다 가벼움 나머지 물보다 무겁다 황린 (물 소화 ㅇ) ㅡ>2류 황화린이랑 비교 나머지 물과 반응시 수소 발생 무기 or 유기 대부분 무기질화합물 황린 아황산가스 ->물속저장 나트륨 칼륨 ->기름저장 아세틸렌 -> 다공성물질 아세톤용해 저장 알킬 ~ -> 밴젠.핵산.. 2023. 3. 3.
[지식]수액(링겔) 줄에있는 공기 괜찮을까? 병원에 입원을 하여 주사를 맞으면 공통적으로 하는 것이있다. 1.얼마나 큰 바늘로 내몸을 찌르는지 주사바늘 쳐다보기 2. 수액(링게르)와 연결되어있는 줄에 공기방울은 없는지 확인 왜 이런 생각을 하게되는걸까? 누가봐도 큰 바늘로 찌르면 아프니까.. 또 왠지 혈관에 공기가 들어가면 않좋을거같아서.. 바늘의 크기는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노하우와 조건들이 붙는다. 혈관이 바늘의 크기보다 커야하고 혈관이 바늘의 길이만큼 곧게 잘 뻗어잇어야되고 혈관이 더 튼튼하고 탄력이있어 큰 바늘을 삽입후에도 찢어지지않고 유지가 되어야 되는등등 간호사들 역시 큰 바늘이 작은 바늘보다 더 피곤하고 어렵다..그럼에도 큰 바늘을 가져오는 이유는 치료에 필요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니 굳이 물어보지 않아도 된다. 수액줄에 있는.. 2023. 3. 2.
[의학지식]cpc 점수(cerebral performance category)와 심폐소생술 cpc란 쉽게 설명하면 ->뇌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더 쉽게 설명하면 ->뇌가 손상받은 정도 를 뜻하는데 1점에서 5점까지 구분을 하고 있다. 1~2점은 좋은 신경학적 상태 3~5점은 불량한 신경학적 상태 cpc 1 ->의식명료 cpc2 ->의식이 있고 독립적인생활가능 cpc3 ->의식이 있고 일부인지기능 있음 독립적인생활불가 cpc4 -> 의식이 없고 인지기능 없음.혼수상태 cpc5 -> 뇌사상태 이 짧은 내용은 응급처치학개론이라는 과목의 단골 문제이다. 시험문제를 떠나서 cpc는 어떤것과 연관이 있는걸까?? 간단히 실생활에 접 할 수 있거나 대중적으로 알려진 부분을 살펴보면 심정지시 심폐소생술과 관련이 있다. 노령화와 고령화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 2023. 2. 28.
[경제]N잡의시대ㅡ수 많은 광고 속 무엇을 해야할까..? N잡이란 ㅡ>본업이외의 부업 즉 2가지이상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20~30대는 80프로 이상 적극적 관심 20~30대준 20프로는 N잡을 하고 있다고 한다. 1순위는 유튜브.블로그 2순위는 크몽을 통한 전자책만들어 팔기 3순위는 배달 4순위는 스마트스토어 라고 하는데 배달을 제외하면 모두 온라인 이라는 사실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 과거 몸으로 때우던 시절은 지나가고 디지털노마드라는 새로운 시대에 들어온것이다. 디지털 노마드란 프랑스 경제학자 자크 아탈리가 처음 소개 하였다. 주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등을 이용하여 장소에 상관하지않고 업무를 보는 것을 말한다. 나 역시 부업을 무엇을 해야 할 지 고민을 해본적이 있다. 1.유튜브를 하자니 영상을 편집하거나 찍을 엄두가 .. 2023. 2. 26.
반응형